
피해자에게 비트코인(BTC)이나 테더(USDT) 등 다양한 가상자산을 직접 송금하도록 유도하는 ‘코인 기반 보이스피싱’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기존의 계좌 송금 방식과 달리 피해자가 직접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출금하거나 가상 바카라 간 송금을 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자금 추적이 더욱 어려운 구조다.
특히 범죄자들은 피해자에게 '가짜 채권 회수', '투자금 반환', '해외 송금 처리' 등의 명목으로 비트코인(BTC)이나 USDT 전송을 유도하며, 이를 받은 직후 수차례 전송을 통해 자산을 분산하고 추적을 어렵게 만든다. 실제로 일부 피해 사례에서는 국내 거래소에서 송금된 자산이 수 시간 내 해외 가상 바카라으로 옮겨지거나 믹싱 서비스로 자취를 감춘 경우도 확인되고 있다.
문제는 피해자 입장에서 자산이 이미 블록체인상에서 이전된 이후에는 실질적인 회수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수사기관 역시 피의자의 신원이나 가상 바카라 소유관계 입증이 늦어질 경우 실시간 대응에 한계가 있다.
디센트 법률사무소의 진현수 대표 변호사는 “가상자산을 활용한 보이스피싱은 기존 계좌 기반 범죄보다 피해 회복이 훨씬 더 어렵기 때문에 초기 대응 속도와 증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체 내역, 가상 바카라 주소, 거래소 계정 정보, 전화 녹취 등 디지털 증거를 신속히 수집해 두는 것이 형사 고소와 민사 회복을 위한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범죄 조직이 이용한 가상 바카라이나 거래소를 파악한 경우에는 관련 거래소에 긴급 동결 요청을 하거나, 수사기관을 통해 해외 협조 공문을 보내는 방식으로 대응이 가능하다”며 “피해 발생 직후 전문 법률 자문을 통해 상황을 정리하고, 형사 및 민사 절차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일부 국내 거래소는 보이스피싱 의심 거래에 대한 신고 접수 시스템과 협조 절차를 마련해 두고 있으나 피해자의 거래가 직접적인 가상 바카라 행위로 인정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피해자 입장에서는 가상 바카라 구조에 대한 법률적 분석과 전략적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